DGIST는 움직임과 압력을 통해 전기와 빛을 동시에 생성하는 자가 발전 센서를 개발했다. 배터리가 필요 없는 이 기술은 재난 구조, 스포츠, 웨어러블 기기 등 다양한 실생활에 응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고무와 같은 재질(PDMS;폴리디메틸실록산)에 빛을 내는 황화아연-구리(ZnS:Cu) 입자를 넣고, 은 나노선 기반 단일 전극 구조를 설계해 높은 효율성을 구현해냈다. 개발된 장치는 5,000번 이상 반복해서 눌러도 성능이 떨어지지 않고, 최대 60V 전압과 395nA 전류를 안정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특히, 빛을 이용해 SOS 신호를 보내는 기능은 재난 구조나 심해 작업 같은 긴급한 상황에서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물 속이나 어두운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해 기존 기술이 가진 한계를 효과적으로 극복했다.
'연구뉴스-전기 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폰 화면에 물이 묻어도 간섭을 받지 않는 압력 센서를 개발했다 (0) | 2025.03.24 |
---|---|
UNIST는 전기공진방식의 무선전력전송기술을 개발했다. (0) | 2025.02.11 |
레이더 신호의 포락선(envelope),레이더 해상도를 높이다 (0) | 2025.02.11 |
촉각 구현 기술로 털부터 유리까지 다양한 실제 질감 완벽 구현 (2) | 2025.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