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한 염기성 물질이어서 프리온을 소독할 떄 쓰인다. 단백질을 녹이는 물질이다. 과거에는 Ca(OH)2(수산화칼슘) + K2CO3(탄산칼륨) → CaCO3(탄산칼슘) + 2KOH(수산화칼륨) 방식을 많이 사용했는데 순도를 높이는데 어려움이 있어 사용하지 않는다. 현재에는 2KCl(염화칼륨) + 2H2O(화학반응식에서 생성물의 양을 나타날떄사용, 2H2 + O2 -> 2H2O) → 2KOH + Cl2(염소) + H2(수소) 을 사용한다.염화칼륨 수용액을 전기분해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순도 높은 수산화칼륨을 얻을 수 있다. 수산화칼슘과 수산화 칼륨은 혼동되기 쉬우나 성질의 차이가 있다수산화칼슘은 용해도가 낮지만 칼륨은 용해도가 높아 물에 매우 잘 녹는다.반응성은 칼륨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