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03 4

RNA Ribonucleic Acid(리보핵산)의 약자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분자

RNA는 Nucleotide(뉴클레오타이드)라는 작은 단위로 이루어져 있다. 구조는 rebose(당),phosphate(인산),base(염기)로 구성되어 있다. base(염기)의 구조는 아데닌(A), 우라실(U), 구아닌(G), 사이토신(C)으로 구성되어 있다.  RNA는 rebose(당),phosphate(인산),아데닌(A), 우라실(U), 구아닌(G), 사이토신(C) 6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mRNA는 DNA에 저장된 유전 정보를 복사하여 단백질을 만드는 리보솜으로 전달한다. rRNA는 전달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단백질 합성의 장소 역할을 한다. tRNA는 단백질을 만들때 필요한 아미노산을 리보솜으로 운반한다.  단백질 합성은 크게 Transcription(전사)와 Translation(번역) 두 단계..

생물&생명 2025.02.03

촉각 구현 기술로 털부터 유리까지 다양한 실제 질감 완벽 구현

기초과학연구원은 공동으로 압력 센서를 전기 촉각 디바이스에 결합해 촉각을 구현하고, 뇌파를 기반으로 촉각 정보를 분류해 9가지 이상의 다양한 촉감을 구현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압력 보정이 가능한 ‘투명 간섭 전기 촉각 디바이스’를 제작했다.디바이스는 전기 촉각을 구현하는 전극 부분과 손가락의 압력을 보정하는 압력 센서로 이뤄졌다. 이번 연구의 핵심은 전기 촉각 기술에 간섭 현상을 도입했다는 점이다. 간섭 현상은 두 개의 전자기장이 중첩됐을 때 진동수와 진폭이 변화하는 현상인데, 기존보다 30% 낮은 전류만으로도 동일한 촉감 강도를 구현했고 자극 위치를 더 세밀하게 제어해 촉각 해상도를 32% 향상했다.

다 물체 파지 그리퍼 로봇 개발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은 기계공학부 연구팀이 사람처럼 여러 물체를 한 번에 옮길 수 있는 로봇 그리퍼(MOGrip)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효율적 작업을 위해 물체를 하나씩 옮기지 않고, 여러 개를 동시에 옮기는 모습을 보고 영감을 얻어 연구를 시작했다. 손가락-디커플링 링크가 설치된 RP조인트 연결고리 커플링은 두 회전축의 토크와 각속도를 동일하게 유지하여 동력을 효율적으로 전달합니다. 동력 전달은 토크와 각속도의 곱으로 표현된다.

연구뉴스-기계 2025.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