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생명 6

시력을 회복할 수 있는 치료법

카이스트 생명과학과 김진우 교수 연구팀이 망막 신경 재생을 통해 시력을 회복할 수 있는 치료법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망막 재생을 억제하는 프록스원(PROX1) 단백질을 차단하는 물질을 질환 모델 생쥐 안구에 투여해 망막 조직의 신경 재생과 시력 회복을 유도하고, 그 효과를 6개월 이상 지속하는 데 성공했다.  치료제가 전무했던 퇴행성 망막질환 환자들에게 새로운 희망을 제시한다.  망막 재생이 활발한 어류와 같은 변온동물에서는 뮬러글리아라는 세포가 신경전구세포로 역분화한 후 새로운 신경세포를 생성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데 인간과 같은 포유류는 이 기능이 사라져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역분화를 억제하는 프록스원 단백질을 발견했다. 프록스원은 망막과 해마, 척추 등의 ..

생물&생명 2025.03.31

DNA를 치료하는 방법

사람의 몸 속에는 약 30억 개의 DNA가 있습니다. 그럼 30억 개의 DNA를 치료하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1. 유전자 치료 바이러스 백터를 사용하여 정상 유전자를 세포 내로 전달합니다. 바이러스 백터는 DNA를 운반합니다. 바이러스는 자연적으로 세포 내로 유전물질을 전달하는 능력이 있기 때문에 바이러스를 유전자 전달 도구로 개조합니다. 정상 유전자를 세포 핵 내부로 들어가서 세포의 기계를 이용해 mRNA로 전사됩니다. 그렇다고 바이러스 벡터는 mRNA를 직접 전달하지 않고, DNA를 전달하여 세포가 스스로 mRNA를 만들고 단백질을 생산하도록 합니다. 바이러스 벡터의 작동 과정벡터 준비: 바이러스 벡터는 치료용 유전자(DNA)를 포함하도록 설계됩니다. 세포 감염: 벡터가 세포에 결합하여, 세포 ..

생물&생명 2025.03.12

공기에서 수분을 모아 식수로 사용하는 휴대용 시스템 개발

기존 수분포집시스템은 응축->증발->압축 으로 구성되어 소움,무게,냉매 사용에 따른 오염의 우려가 있었다. 이번에 개발한 휴대용수분포집시스템은 열전소자의 발열면을 흡습판으로 이용했다. 흡습판의 흡착 모드에서 공기중 수분을 모으고 발열모드에서 수분을 응축판으로 전달하는 방식으로 수분포집효율을 높였다.

생물&생명 2025.02.06

소고기 과학

소고기의 선홍색을 띠는 것은 마이오글로빈이라는 단백질 때문이다. 근육조직에 산소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원래는 어두은 자주색을 띠는데 산소와 결합되면 선홍색으로 변한다. 고기를 익히면 갈색으로 변하는 이유는 마이오글로빈에 있는 2가 철이온이 굽는 과정에서 3가 철이온으로 바뀌기 떄문이다. 바닷가재는 혈액이 푸른색으로 띠는데 헤모글로빈이 아닌 헤모시아닌으로  구로이온이어서 그렇다. 선홍색은 근육의 활동빈도에 따라서 선홍색을 띤다. 활동성이 강해 산소가 많이 필요하므로 마이오글로빈이 많이 포함되어있다. 소고기의 성분은 많은 종류의 아미노산이 여러 개 결합되어서 형성된 거대 분자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다. 사육이 오래된 고기는 콜라겐 성질이 변해서 고기가 질기다. 콜라겐은 주로 결합조직을 이루고 있는 단백질의..

생물&생명 2025.02.05

무지개색 유령메기

유령메기의 무지개색은 근육에 있는 미세한 줄무늬 구조에 빛이 통과할 때 굴절로 인해보입니다. https://youtu.be/eBQn35dxc2Q 근육섬유의 길이를 따라 뻗어 있는 2마이크로미터 길의 규칙적인 간격의 띠 모양의 구조인 육종이 무지개 빛깔의 원인으로 확인했습니다. 다양한 양으로 겹치는 단백질로 구성된 육종의 반복 띠는 서로 다른 파장을 분리하고 강화하는 방식으로 백색광을 굴절시킵니다. 빛의 집합적 회절은 일련의 색상을 생성합니다. 물고기가 헤엄치기 위해 근육을 수축하고 이완하면 육종의 길이가 약간 변하여 무지개 모양이 움직이는 효과가 발생합니다.

생물&생명 2025.02.05

RNA Ribonucleic Acid(리보핵산)의 약자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분자

RNA는 Nucleotide(뉴클레오타이드)라는 작은 단위로 이루어져 있다. 구조는 rebose(당),phosphate(인산),base(염기)로 구성되어 있다. base(염기)의 구조는 아데닌(A), 우라실(U), 구아닌(G), 사이토신(C)으로 구성되어 있다.  RNA는 rebose(당),phosphate(인산),아데닌(A), 우라실(U), 구아닌(G), 사이토신(C) 6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mRNA는 DNA에 저장된 유전 정보를 복사하여 단백질을 만드는 리보솜으로 전달한다. rRNA는 전달받은 정보를 바탕으로 단백질 합성의 장소 역할을 한다. tRNA는 단백질을 만들때 필요한 아미노산을 리보솜으로 운반한다.  단백질 합성은 크게 Transcription(전사)와 Translation(번역) 두 단계..

생물&생명 2025.02.03